집화살표_1

법률지식인

법률 궁금증 비전문가, 광고성 답변에 지쳤다면? 대륜의 전문변호사가 답변 드리겠습니다.
Q

상속변호사님 상속에도 순위가 정해져 있나요? 제대로 상속받지 못했습니다

조회수 21,217 | 2022-11-24

상속변호사님제가 알기론 법으로 상속 순위가 정해져 있다고 들었는데.. 세상 물정 모르고 이런 부분에 약하다보니 아버지 상속을 오빠들에게 다 빼앗겨 버린거 같습니다. 혹시 지금이라도 되찾을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어느 정도 저도 물려받을 권리가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A

상속변호사의 상속 관련 질의 응답

안녕하세요.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상속변호사 입니다.

질문주신 법정 상속인은 민법에 따라 4촌 이내의 방계혈족이 될 수 있으며, 그 순서는 사망한 피상속인을 기준으로 이루어집니다.

1순위 : 피상속인의 직계비속, 배우자

2순위 : 피상속인의 직계존속, 배우자

3순위 : 피상속인의 형제자매

4순위 : 피상속인의 3촌, 4촌 이내의 방계혈족

상속재산분할의 문제에 있어서는 공동 상속인들 사이에 상속재산분할에 대한 협의가 불가할 경우 상속재산분할 청구소송을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상속재산분할 청구는 한 사람 또는 여러 사람이 할 수 있으나, 소송 과정에는 공동 상속인 전원이 참여해야 합니다.

이에 유류분반환청구소송이 필요한 대표적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 망인이 생전에 특정 자녀에게만 많은 재산을 증여한 경우

- 망인이 생전에 재혼 후, 재혼 배우자 등에게만 많은 재산을 증여한 경우

- 망인이 상속인 외 제3자 또는 단체에 대부분의 재산을 증여하여, 상속인들이 극히 일부분의 상속재산만을 받거나 거의 받지 못하게 된 경우

- 망인 사망 직전에 특정 상속인에게 대부분 재산이 증여되었으나, 망인이 정말 그러한 의사가 있었는지 의심스러운 경우

- 망인이 특정 상속인에게 많은 재산을 준 것으로 알고 있고, 별다른 상속재산을 남겨두시지 않은 경우

- 망인이 일정 재산을 남겨두었으나, 특정 상속인에게만 재산을 유증한다는 유언을 남겨둔 것을 사망 이후 확인한 경우

유류분 비율은 피상속인의 직계비속(자녀, 손자녀 등) : 법정상속분의 1/2, 피상속인의 배우자 : 법정상속분의 1/2, 피상속인의 직계존속 : 법정상속분의 1/3, 피상속인의 형제자매 : 법정상속분의 1/3 입니다.

모든 분야 한 눈에 보기

1/0

방문상담예약접수

법률고민이 있다면 가까운 사무소에서 성범죄전문변호사와 상담해보세요

이름

연락처

사무소

select icon

사건분야

select icon

문의내용

24시간 운영
대화 배경

법무법인(유한)대륜

안녕하세요. 법무법인(유한)대륜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점이나 도움이 필요하신 부분 말씀해 주시면 도와드리겠습니다. ※ 성함과 연락처를 남겨주시면 갑작스럽게 채팅이 중단될 경우 전화나 문자(알림톡)를 통해 중요한 답변을 놓치지 않도록 도와드리고 있으며 이전 내역 확인 후 빠른 안내가 가능합니다.   ※ 만 14세 미만의 경우에는 보호자의 동의 없이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이 불가능합니다. 만 14세 미만의 미성년자의 경우 법정대리인의 연락처를 알려 주시면 동의서를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채팅방을 나가신 후 문의하실 경우에도 동일한 내용으로 대화를 이어가실 수 있습니다.   수집된 개인 정보는 답변 알림 및 상담예약안내 목적으로만 이용되며 삭제를 요청하시기 전까지 보유됩니다. 개인정보 입력시 개인정보제공에 동의한 것으로 봅니다. 개인정보제공에 동의하지 않으실 경우 답변 알림을 받으실 수 없습니다. ✅ 6:00~24:00 외 시간에는 인력편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응대를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빠르게 답변 받으실 수 있어요